소개합니다! SFC/SFC 역사 20

우리의 발전을 위하여 / 제15회 전국학신 하기수양회 수련회지

※ 원문 그대로를 옮겨 적지 않고 현대 맞춤법에 따라 조금 바꿉니다. 원문은 아래 이미지를 참고하세요!S.F.C. 는 한국에서 일어난 학생신앙운동이다. 외국에서 일어난 Y.M.C.A.나 S.C.M. I.V.F. 혹은 Young Calvinist 와는 다른 역사적 배경과 환경을 가졌다. 어떤 선교사는 우리의 S.F.C. 를 다른 운동과 비교하여 말하기를 신조에 있어서는 Young Calvinist 와 같고 생명 있는 활발한 신앙 면에서는 IVF와 같다고 하였다.따라서 우리 SFC 운동의 추진 방법에 있어서는 이 모든 운동의 그것을 참고하면서도 항상 우리에게 고유한 운동 방법을 창조해 나가는 독창성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만일 이 생명있는 이 독창성을 잃고 한갓 형식 주의에 지키게 될 때에 다른 모든 종..

수련회와 관련하여 본 SFC의 역사

※ 이 글은 학신보 제 19호에 실린 글입니다. 원글은 문단을 나누지 않아서 옮기는 과정에 문단을 나누었습니다.수련회와 관련하여 본 SFC의 역사김윤태 간사(본부)1. 들어가는 말흔히 SFC를 아는 많은 사람들이 학생신앙운동의 역사는 수양회의 역사라고들 말하는 것을 쉽게 들을 수 있다. 이 말은 단순히 그 말의 진위를 떠나 그만큼 SFC의 역사는 수련회와 밀접하게 관련하여 진행해 왔음을 강조하는 말로 생각할 수 있는 것이다. 사실 SFC는 처음 시작부터가 신앙 수련회의 결과로 말미암은 것이었다고 말한다 할찌라도 그리 지나친 말이라고 할 수는 없을 것이다. 일제의 기독교 탄압과 그 가운데서 신앙적 순결을 잃은 한국 교회는 해방 후 중요한 신앙적 전기를 맞게 되어졌는데 그것은 곧 신앙의 순결을 회복하고 한국..

학신협의 형성과정과 위상 <교회건설 제4호>

유영업 간사 (경북대졸, 대구지역 간사, 포항공대,선린여전 담당, 학신협 간사)학신협이 구성된지 만 1년이 되어간다. 제 9차 “대학학생신앙운동전국알돌대회”(전 대표자모임)를 앞두고 학신협의 형성과정과 그 위상을 밝혀 전국에 있는 학생신앙운동 운동원, 간사님, 지도위원님, 선배님등 관계자들의 몇가지 오해와 염려를 불식시키고 명백한 “대학학신협의회”로서 당당히 서고자 한다.학신협의 형성과정을 이야기 하려면 83년말에 있었던 움직임에 대한 소개를 먼저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당시 본격적인 전임간사 사역이 시작되면서 일어났던 대학학신은 그 몇몇 대학에서 학생신앙운동의 역사이해와 정체성에 대한 의견에 있어서 전국 학신과 달랐다. 이는 83년 여름(’83 전국수양회)에 있었던 간사와 전국학신 간의 이해차이와 함께..

SFC와 인터넷 사역

글 / 김민석 간사 본부 인터넷팀 1. 들어가며 많은 사람들이 인터넷에 몰리고 있다. 인터넷에 오면 새로운 만남과 경험을 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인터넷에 계속 오고 싶게 만드는 매력일 것이다. 사실 인터넷에는 무한한 가능성이 내포되어 있다. 인터넷을 이용하여 많은 일들을 이룰 수 있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이렇게 화려해 보이는 인터넷을 잘 활용하는 것이 그렇게 쉬운 것이 아님을 또한 알아야 한다. 그냥 공짜로 가만히 누워서 얻어지는 게 아니다. 많은 시간과 재정과 헌신을 투자해야 비로소 그 진가를 느껴볼 수 있는 것이다. SFC의 오랜 역사에 비해 인터넷 사역의 시작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하지만 지금 시대 인터넷의 영향은 정말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폭발적인 미디어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메일을 주고..

기독학생운동사

김동춘 1. 기독학생운동의 의의 대학은 전통과 예지가 빛을 발하고 낭만과 정열이 넘쳐흐르는 곳이다. 정의와 진리가 순수한 몸짓으로 나가는 길이며, 그 길을 밝히려고 숱한 시대의 양심들이 피와 땀을 흘린 곳이다. 불의와 타협을 거부하는 뜨거운 외침들이 살아 숨 쉬던 곳이다. 이러한 대학에서의 학생운동은 우리 사회의 다른 여타 집단이 감당할 수 없었던 현실 개혁운동을 주도적으로 자극하고 추진해 독립적인 계층적 목소리를 인정받을 만큼 성장했다. 학생운동은 역사의 전환기에서 시대가 어려울 때 마다 현실에 고착화하지 않고 선각자적인 역할을 수행해 온 것이다. 그런데 우리는 또 다른 면을 주목해야 한다. 이러한 학생운동의 이면에 자리 잡고 영향을 미친 것은 기독학생운동이었다. 기독학생들은 학원과 사회에서 그리스도의..

고신교회와 SFC

※ 이 글은 고려신학대학원에서 2009년에 진행된 "고신 역사와 정신" 수업 중 나눠진 강의안 입니다. 고신교회와 SFC - 고신교회와 SFC의 관련성 및 독특성- 송재홍 목사 (SFC 대표간사) 머리글 세계 교회의 역사를 살펴보면, 경건 운동과 선교운동, 그리고 세계관 운동에 있어서 기독학생운동이 끼친 영향이 얼마나 지대한지 알 수 있다. 16세기 종교개혁을 통해 하나님의 말씀으로 돌아가고자 노력했던 교회는 18세기에 들어서면서 계몽주의에서 비롯된 하나님의 존재에 대한 위협 앞에 놓이게 된다. 이런 흐름 속에서 유럽에서는 존웨슬리나 죠지 휫필드 등을 중심으로 한 부흥운동이 일어나고, 윌리엄 윌버포스 같은 인물은 사회의 고조적 악과 맞서 싸워 사회를 변혁시키는 등 복음전도와 그리스도인의 사회적 책임을 다..

SFC 역사 (주제별 약사)

※ 이 글은 1989년 "제7회 대학SFC 대표자모임 자료집 - 학생신앙운동 정체성과 방향성 정립을 위한-"에 실린 주제발표문입니다. 이명규 (경남대, 경남U-SFC 위원장) 목 차 들어가면서 I.SFC의 성립배경 및 과정 1.신사참배 2.고려파 운동과 SFC의 성립 3.SFC의 태동은 주님의 부르심에 응답하기 위함이다. 4.함께 고민하고 기도하기 II.SFC의 대외관계 1.고신교단과의 관계 2.청년신앙운동(YFC)와의 관계 3.총신과 SCE(학생면려회)와의 관계 4.선교단체와의 관계 5.함께 고민하고 기도하기 III.교육 1.초창기의 교회 교육과 학원 SFC교육의 상관관계 2.80년대 이후의 교회교육과 학원 SFC 교육의 상관관계 3.학원 SFC 교육의 역할과 현 위치 4.수양회와 대학생대회 5.지도자..

학생운동, 기독학생운동과, 『학생신앙운동』

※ 이 글은 1989년 "제7회 대학SFC 대표자모임 자료집 - 학생신앙운동 정체성과 방향성 정립을 위한-"에 실린 주제발표문입니다. 김동춘 (경북대 SFC) 1. 들어가며 '학생운동' 이라 했을 때, 사람마다 떠오르는 생각은 제각기 다를 것이다. 캐임브릿지 7인이나 영국의 기독학생운동, 한국 개화기 이후 일제시대에 이르러 민족운동을 주도한 기독학생운동 등의 긍정적인 기독학생운동을 떠올리거나, 일본의 적군파나 영궁의 신좌파운동, 화염병과 폭력이 연상되는 한국의 학생운동 등 부정적인 모습의 학생운동, 그리고 일반 학생운동 중에서 4.19 혁명이나 광주항쟁, 6월 항쟁 등의 긍정적인 모습을 떠올리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이렇게 같은 용어라도 동상이몽을 하게 되는 것은 학생운동의 복합성, 다양성 때문이다. 할..

한국기독교사 속에서의 학생신앙운동

※ 이 글은 1989년 "제7회 대학SFC 대표자모임 자료집 - 학생신앙운동 정체성과 방향성 정립을 위한-"에 실린 주제발표문입니다. 김성수 (서울대 SFC 위원장) 목 차 1.머리말 2.한국교회사 요약 1) 전래 2) 수용과 초기의 성장 3) 사회변화와 시련 속에서의 한국교회 4) 해방 이후의 한국교회와 선교 100주년의 의미 3.한국기독교회사의 특징들과 반성점들 1) 급격한 성장과 서구화의 과정 2) 신학의 부재 3) 분단의 상황 4.한국교회사 속에서의 학생신앙운동의 위치 1) 본질적으로 학생신앙운동은 회개운동으로 출발했다. 2) 학생신앙운동은 신앙운동, 선교운동이다. 3) 철저한 교회 중심의 운동 5.맺음말 1. 머리말 역사를 어떻게 볼 것인가? 이 문제는 특별히 그리스도인들에게는 참으로 곤혹스러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