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합니다! SFC/강령 구현

사회변혁운동 [캠퍼스 운영자료집(2006년)]

노랑 테니스 공 2023. 12. 3. 14:02

1. SFC의 문화변혁운동

우리의 운동은 사역과 양육뿐만 아니라 변혁적 이슈에 대해 적극적이다. SFC 공동체는 변혁적 공동체로서 우리가 처한 삶의 현장과 시대적 문제들을 끌어안고 가고자 한다. 캠퍼스(중고대)문화, 건강한 교회, 이슈운동, 학사운동, 통일조국에 대한 열망은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이 땅의 문제들에 대한 적극적인 신안적 반응이다. 그리하여 이 세상 또한 주님께서 다스리신다는 선언을 삶의 현장에서 신앙고백하며 치열하게 살아가고자 한다. 성경적 가치와 대안은 항상 발굴되고 적요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1) 캠퍼스 문화 변혁운동

SFC는 학생신앙운동이다. 우리는 캠퍼스에서 정직과 성실이 사라지고 이기주의화되어 가는 현실에 대하여 안타까움을 금치 못한다. 학문 공동체는 상실된 지 오래되었고, 사제간의 신뢰는 말할 것도 없고, 친구간의 폭력과 억압이 난무하며, 취업학원화 되어 가고 절망과 좌절만 난무한 대학가의 문화에 대해 우리는 책임을 통감한다. 이런 캠퍼스 문화에 희망을 말하고 의를 세우기 위해 우리는 캠퍼스 문화변혁 운동을 전개한다. 대학문화 5적 추방운동, 컨닝추방운동(정직운동), 좋은학교만들기 운동(중고등학교) 등은 학원에서 전개할 수 있는 문화변혁운동의 예라고 할 수 있다. 앞으로 적극적이고 진취적인 문화변혁 운동을 개발하고 발전시켜 나가야 할 필요가 과제가 남아 있다.

2) 건강한 교회 운동

우리 운동은 개혁교회 건설을 위한 사명을 가지고 있다. 개혁교회는 신학적 전통의 전수뿐만 아니라, 즐겁고 건강하며 성경적인 교회를 세워나가는 일을 위해 섬기는 자들이 되어야 함을 말해 준다. 우리는 "다움 운동", "말씀과 기도운동", "전도 운동". "이단 추방 운동", "교회사랑운동" 등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3) 통일운동

SFC는 태생적으로 민족과 역사의 문제와 함께 시작했다. 한국전쟁의 암당한 상황 가운데서 신앙운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민족과 교회를 위해 기도하고 섬겨왔다. 통일은 한 민족이 안고 있는 현시대적 과제 중 가장 중요한 과제이며 한국교회 또한 함께 안고 기도해야 할 과제이다. 이에 SFC는 남북이 더불어 사는 사회를 바라보며 통일 이후 사회를 준비하는 운동을 펼치고 잇다. 통일을 위한 기도운동으로부터 시작해 연구모임, 통일선교모임, 통일비전트립 등을 전개해 오고 있다. "영적 각성을 통한 민족사랑운동", "북한선교 기초 세우기 운동", "민족 나눔운동" 등은 통일운동 맥락에서 전개해 왔던 운동이다.

4) 학사운동

SFC는 학생의 시기에만 해당하는 운동이 아니다. SFC의 동문은 영원한 그리스도를 위한 학생으로서 하나님 나라 운동을 전 삶의 영역에서 펼쳐나가는 자들이다. 그러므로 동문운동인 학사운동이 SFC의 비전과 강령과 관련하여 전개될 필요가 있으며 더욱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학사운동은 중고대SFC를 기도와 재정으로 지원해 줄 뿐만 아니라, 자체적으로 SFC의 비전과 정신을 주도적으로 전개할 수 있는 주체적인 운동이 필요하다.

5) 이슈운동

우리 운동은 성경적인 대안을 실천하는 운동으로서 그 기조를 지켜 나가고 있다. 시대적으로 생겨나는 이슈들에 대해 오피니언 리더로서 역할을 감당한다. 주력운동은 이러한 시대적이고 사회적인 이슈들에 대한 단·중기적 운동전략이다. "마약추방운동:", "낙태반대운동", "공명선거운동". "바른지도자세우기 운동" 등은 이슈운동의 대표적인 예이다.

2. SFC 주력운동

1) 주력운동의 기본 개요

▶ 주력운동의 태동

SFC 역사를 추적해보면 주력사업(주력운동)이 우리 학신 속에 등장하는 것은 1992년부터다(용어 자체는 1993년 부터 회의록에 기록됨). 1992년은 우리 학신에 있어 중요한 분기점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것은 전국SFC 조직의 변화를 가져온 해로 지방SFC를 중심한 교회연합, 대학SFC와 U-SFC를 중심한 학원연합으로 조직이 양분화 되어졌던 때이다. 이렇게 학신협이 학원연합으로 인준되는 과정에서 주력운동을 전국 SFC가 채택하였다. 그런데 이미 1990년 각 지역 U_SFC의 연합인 학신협이 출범하면서 주력운동과 맥을 같이하는 중점운동이라는 것이 시작하고 았였고, 이 중점운동이라는 말은 전국SFC 조직개편과 함께 사라지고, 1993년부터주력사업이라는 말로 대체되었다가, 운동적 용어로 주력운동이 1998년 이후 공식적으로 사용되었다.

▶ 주력운동의 정의

① 현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고 그것을 집중화하여 사회적인 이슈나 교회적인 이슈를 가지고 SFC의 역량을통해 펼쳐 나가는 운동이다.

② 이 운동을 통해 구체적인 헌신자들을 발굴해 내고 그들을 통해 대사회적, 댁회적 영행력을 미치도록 하는 운동이다.

③ 현장(사회적 - 역사현실, 캠퍼스, 교회적 현장)의 특별한(?) 상황에 대한 개혁주의 신앙운동으로서의 답변을 효과적으로 표현해내는 행위라고 볼 수 있다. 즉, 현장의 필요성으로부터 우리 운동의 역량을 실천으로 풀어내는 명제화된 선언이다.

▶ 주력운동의 필요성

SFC는 개혁주의 신앙운동체이다. 그래서 우리 시대의 개혁주의를 드러내는 것은 당위성이다. 그런 면에서 주력운동은 개혁주의를 구체적으로 다양한 현장에 실현해내는 방법으로 이해할 수 있다. 아브라함 카이퍼는 개혁주의를 교회, 국가, 사회와 가정에 대한 근본적인 철학개념으로 이해했다. 개혁주의 전통으로보면 개혁주의자들은 그 시대에 그 당대에 복음으로 말씀으로 그 시대의 다양한 문제들에 대한 성경적 답변들에 충실했다. 즉, 개혁주의는 오직 신적 권위의 상징인 성경으로 말미암아 잘못된 것을 뜯어고치고 새로운 신적통치를 실현하는 것으로, 삶의 모든 영역이 성경의 지배를 받아야 한다는 것이 개혁주의의 입장이다. 이러한 개혁주의 신앙운동체로서 학생신앙운동은 통일성 있고 집중적인 운동을 갖추고자 주력운동이라 하는 틀이 필요한 것이다.

▶ 1990년 이후의 주력운동

1990년 ~ 1991년 "중점운동" 대학문화변혁을 위한 대학문화 5적 추방운동 [컨닝추방, 음란퇴폐, 개인주의, 도덕성 상실, 과소비]

1992년 : 기도운동, 전도운동, 공명선거운동

1993년 : 말씀사랑실천운동, 기도운동, 전도운동 (주력사업)

1994년 : SFC 다움 운동, SFC 확장운동

1995년 : 전도운동, 기도운동

1996년 : 신조공부하기, 기도와 회개 운동, 우리교회 잘 섬기기

1997년 : 변화와 확장

1998년 : 영적각성을 통한 민족사랑 운동 [영적각성 : 성경읽기 / 민족사랑운동 : 복음화운동, 헌혈카드모으기, 통일통장갖기]

1999년 : 영적각성을 통한 민족사랑운동

2000년 : 개혁신학, 개혁신앙, 개혁생활

2001년 : 말씀사랑을 통한 교회사랑운동

2002년 : 세움운동 (학원연합 : 바른지도자 세우기운동 / 교회연합 : Are you ready?)

2003년 : 세움운동 (학원연합 : 북한바로알기 운동 / 교회연합 : I am Christan)

2004년 : 회복운동 (학원연합 : 민족나눔운동 / 교회연합 : I am Christan)

2005년 : 회복운동 (학원연합 : 민족동질성운동 / 교회연합 : 거룩성회복운동)

2006년 : 회복운동 (학원연합 : 민족동질성운동 / 교회연합 : 거룩성회복운동)

2) 주력운동의 운영

▶ 운동의 단계

① 방향성, 목표를 바르게 설정하는 단계 : 현재의 상황과 상태를 점검, 분석, 평가하고 올바른 운동의 목ㅍ를 세우고 방햐성을 확립해야 바른 운동을 펼칠 수 있다.

② 배움과 실천의 단계 : 관련된 책읽기, 독서 토론회, 관련된 강의를 들음으로 배우도록 한다. 지속적으로 기도운동(기도카드, 기도스티커 등을 제작)을 펼친다.

③ 헌신의 단계 : 직접 동참하여 몸으로 섬김을 통해 이 운동을 펼친다.

▶ 주력운동의 실천

① 주력운동은 주로 두 가지로 병행된다. 첫째, SFC의 역량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운동, 즉, 기본적인 신앙증진을 위한 신앙운동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말씀사랑, 기도하기, 주일새벽기도회 참석하기 등, 둘째, 회기 중에 일어난 이슈를 주력운동으로 채택하는 문제(다른 조직 필요 없이 전국위원회로 모이거나 본부가 제안하는 방식)

② 현장에 대한 분석으로 이슈된 주력운동은 현장성과 기동성이 있어야 한다. 예 : 대통령 선거, 남북문제, 사회적 이슈 등

③ 전문가 집단이 필요하다. 우리 운동의 정체성과 이 시대의 다양한 문제에 대한 통일된 신학적, 신앙적 기반을 끊임없이 공급해 줄 기구가 필요하다.

④ 단기적인 목표가 달성될 때까지 지속한다.

⑤ 철저한 평가작업